[주제]- 이진 탐색 트리의 개념 [정의]- 이진 탐색 트리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규칙이 있음. 그 규칙은 특정 데이터의 위치를 찾는데 사용됨- 이진 트리 + 데이터의 저장 규칙 = 이진 탐색 트리 [중요]- 이진 탐색 트리의 노드에 저장된 키(Key)는 유일- 루트 노드의 키는 왼쪽 서브 트리를 구성하는 어떠한 노드의 키보다 크며, 오른쪽 서브 트리를 구성하는 어떠한 노드의 키보다 작음- 왼쪽 자식 노드의 키 < 부모 노드의 키 < 오른쪽 자식 노드의 키- 왼쪽/오른쪽 서브 트리도 이진 탐색 트리- 삽입 과정과 탐색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 ※ 키는 정수 값으로 설정했다는 가정 ■ 그림(이진 탐색 트리) ■ 그림(이진 탐색 트리의 데이터 삽입 과정) - 비교대상이 없을 때까지 내려감- 비교대상이 없는 때 ..
자료구조
2016. 6. 1. 23:05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RA
- Reference
- wfd
- 여행영어 100일의 기적
- 설명
- java
- 알고리즘
- 왕초보 영어회화 100일의 기적
- 스택
- 응용
- Pte
- SWT
- 대상
- 문법
- 영어
- SysUtils
- VCL
- ADODB
- 계산기
- 자료구조
- tdataset
- 말하기
- 일기
- 정렬
- 독해
- 상황
- 교육센터
- 작문
- Delphi
- System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